KOFICE NEWS

문화체육관광부·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해외 한류 소비자 18개국 8,500명 대상 <2021 해외한류실태조사> 결과 발표

등록일 2021-01-28 조회 10597

첨부 hwp아이콘[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보도자료] 2021 해외한류실태조사 결과.hwp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원장 김용락)이 실시한 <2021 해외한류실태조사> 결과가 금일(1월 28일) 발표됐다. 2020년 한국 문화콘텐츠를 경험한 해외 18개국 8,500명을 대상으로 수행한 <2021 해외한류실태조사>는 방송(드라마, 예능), 영화, 음악 등 한류 관련 문화콘텐츠 10개 분야의 소비 실태를 조사했으며 그 결과 코로나19 대유행에도 해외에서의 한류콘텐츠 소비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한류 소비

□ 코로나19 대유행의 한류에 대한 부정적 영향을 우려했던 여러 전망과 달리 한국 문화콘텐츠에 대한 해외 소비는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자의 전체 문화콘텐츠 소비량 중 한국 콘텐츠가 차지하는 비율은 조사 기준이 변경된 ‘영화’와 코로나 영향이 큰 ‘음식’을 제외한 ‘드라마’(▲1.2%P), ‘예능’(▲2.5%P), ‘음악’(▲0.8%P), ‘웹툰(▲6.3%P)’ 등에서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한국 문화콘텐츠 소비량 변화 조사에서도 증가 응답률이 감소보다 높았다. 대면 방문 소비가 중요한 ‘음식’(30%), ‘패션’(29.1%), ‘뷰티’(25.2%)는 감소했다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많았지만, ‘예능’(48%), ‘드라마’(47.9%), ‘게임’(45.8%), ‘영화’(45.3%) 등 언택트 소비 증가 수혜를 입은 영상 콘텐츠는 증가 응답률의 비중이 컸다. 다만 한류콘텐츠에 대한 해외 소비자들의 관심도(자국민 관심도 포함)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1년 전 대비 관심이 증가했다는 응답 비율이 36.6%로 전년 조사 대비 ▼9.9%P 하락했고, 1년 후 예상 증감에 대해 관심이 증가했다는 응답 비율도 38.3%로 ▼9.1%P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코로나19 대유행이 야기한 경제 불황으로 인해 해외 한류 팬들이 전반적인 문화콘텐츠 소비에 수동적인 태도를 보였을 수 있다는 점과 K-Pop 현지 공연을 비롯한 각종 한류콘텐츠 관련 오프라인 행사가 취소된 부분이 전체적인 관심도 하락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 한류콘텐츠 주 이용자는 아시아 지역의 29~31세 여성으로 드라마, 예능, 영화, 출판물, 패션, 뷰티, 음식은 여성이 남성보다 많이 이용하고, 게임만 남성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주요 접촉 경로는 온라인으로 한류콘텐츠 *이용자와 **구매자 모두 ‘유튜브’를 주로 이용하는 가운데, 구매자들은 이용자보다 유료 서비스 채널(넷플릭스, 유튜브 프리미엄 등) 사용 경향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튜브’의 콘텐츠 장르별 점유율은 소폭 하락한 반면(▼2.1~7.6%P) ‘넷플릭스’ 이용률은 큰 폭으로 상승했으며(▲14.1~16.0%P), ‘넷플릭스’를 필두로‘아마존 프라임’,‘유튜브 프리미엄’ 등의 유료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돼 국산 OTT 업체(웨이브, 티빙 등)의 적극적인 해외 시장 진출이 필요한 시점으로 보인다.

       * 한국 문화콘텐츠 1년 이내 경험자

       ** 한국 문화콘텐츠 소비 지출 경험자 


⊙ 한류(한국) 인식

□ 한편, 한국 연상 이미지 조사 결과 ‘17년, ‘18년, ‘19년에 이어 4년 연속 ‘K-Pop’이 16.8%로 가장 높았다. 지금까지 실시된 열 차례 조사에서 ‘K-Pop’은 총 여섯 번 1위를 기록해(2014~15, 2017~20)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콘텐츠로 해외 한류 소비자들에게 인식되고 있었다. ‘K-Pop’은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베트남, 브라질, 아르헨티나, 프랑스, 영국, UAE 등 아프리카(남아공은 IT산업이 1위)를 제외한 모든 대륙에서 1위를 기록해 광범위한 파급력을 보였다. ‘K-Pop’에 이어 ‘한식'(12.0%), ‘IT산업’(6.9%), ‘한류스타’(6.6%), ‘드라마’(6.4%)가 차례대로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특히 ‘한식’의 경우, 상대적으로 소비 구매력이 큰 국가인 중국, 일본, 대만 등 동아시아를 비롯한 미국, 호주, 러시아에서 1위인 것으로 조사돼 향후 해당 지역 소비 증대를 위한 전략적 접근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가장 선호하는 한국 문화콘텐츠의 경우 드라마는 ‘사랑의 불시착’(9.5%)>‘사이코지만 괜찮아’(4.1%) >‘부부의 세계’,‘이태원 클라쓰’(각 2.8%)>‘킹덤’(2.5%) 순으로 높은 응답률을 기록했다. 전년도 순위와 비교해 ‘킹덤’을 제외하면 새로운 작품들이 상위권에 포함됐는데 모두 넷플릭스가 제작했거나 서비스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영화는 ‘기생충’(18.4%) >‘부산행’(10.2%)>‘반도’(3.5%)>‘살아있다’(2.1%)>‘사냥의 시간’(1.6%)이 차례대로 1위에서 5위에 올라 아카데미 4관왕 후광효과의 ‘기생충’을 제외하면 드라마와 마찬가지로 넷플릭스의 글로벌 유통망을 통해 서비스된 영화가 강세를 보였다. 작년 한국 가수 최초로 빌보드 싱글 차트(HOT 100) 정상에 올라 총 5회 1위를 차지한 ‘방탄소년단(BTS)’(22.0%)이 ‘19년에 이어 압도적인 선호도를 기록하며 가수 부문 선두에 올랐고, ‘블랙핑크’(13.5%)>‘싸이’(2.9%)>‘트와이스’(2.4%)>‘엑소’(2.1%)가 그 뒤를 이었다. 배우의 경우 ‘이민호’(9.6%)가 3년 연속 수위를 지켰으며 ‘현빈(3.5%)’이 2위에 올라 전년 조사와 비교해 무려 12계단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9년 대비 5배의 득표율(0.7%→3.5%)을 기록한 것으로 작년 넷플릭스 전 세계 선호 콘텐츠 순위에서 두각을 보인 ‘사랑의 불시착’의 선풍적 인기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 한류 파급효과 

□ 이번 조사부터 신규 분석 항목으로 추가된 한국 문화콘텐츠 브랜드 파워 지수(Brand Power Index :BPI*)와 순 추천 고객 지수(Net Promoter Score: NPS**) 결과도 주목할 만하다. BPI 산출 결과 전체 58.5점(100점 척도 기준)으로 BPI가 높은 콘텐츠는 음식(65.3점), 뷰티(62.4점), 음악(62.0점)이었으며 웹툰(52.1점), 출판물(53.0점), 애니메이션(55.9점)은 상대적으로 지수가 낮아 한식, 국산 화장품, K-Pop의 브랜드 파워가 비교적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NPS와 한국 문화콘텐츠 경험도에 따른 한국산 제품/서비스 구매 빈도의 경우 저경험자보다 중·고경험자가 지인에게 한국산 제품/서비스를 추천하거나 구매하고자 하는 의향이 더 강하고 한국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또한 긍정적인 것으로 조사돼 해외 소비자에게 한국 문화콘텐츠 노출도와 이용도를 증대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됐다.

       * 현재력 지수(한국 문화콘텐츠에 대한 태도 문항의 5개 척도에 대해 20점, 40점, 60점, 80점, 100점으로 환산하여 평균한 점수)와 잠재력 지수(자국 내 한국 문화콘텐츠별 인기 정도 문항의 5개 척도에 대해 20점, 40점, 60점, 80점, 100점으로 환산하여 평균한 점수)를 각각 50% 가중치 적용하여 100점로 환산

       ** 한국산 제품/서비스를 구매한 적 있는 자에게 지인에게 추천할 의향을 0점 ‘절대 추천하지 않음’부터 6점 ‘중립’, 10점 ‘꼭 추천함’까지 11점 척도로 묻고, 적극적 후원자(9~10점) 비율에서 비방자(0~4점) 응답 비율을 뺀 값으로 계산 

       *** BPI와 NPS 산출방식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붙임 참조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김용락 원장은 “지난 1년간 전 세계를 뒤덮은 코로나19 대유행에도 해외 한류 팬들의 우리 문화콘텐츠에 대한 소비가 증가했다는 점은 고무적”이라며 “이 같은 조사 결과를 글로벌 언택트 소비 행태 보편화에 따른 수혜로 분석할 수도 있겠지만 한류의 저변이 돌발 변수에 흔들리지 않을 정도로 탄탄하고 우리 콘텐츠 경쟁력이 세계 시장에서 꾸준히 올라가고 있다는 방증으로 보는 것이 더 합당할 것”이라고 밝혔다. 


□ <2021 해외한류실태조사> 보고서 요약본 PDF는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KOFICE) 홈페이지(www.kofice.or.kr → 조사연구자료 → 해외한류실태조사)에서 1월 28일부터 내려받을 수 있다.